서울하늘 ‘친환경차’로 정화
인터뷰 - 서울특별시 맑은환경본부 채희정 저공해사업담당관
2008년 08월호 지면기사  / 진행 | 한 상 민 기자(han@autoelectronics.co.kr)

매연저감장치, HEV 도입으로…

맑아진 서울

6월22일 서울시는 놀라운 발표를 했다. 서울의 대기청정도 지표 중 하나인 미세먼지(PM) 농도가 12 ㎍/㎥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년도 평균치의 1/5 수준으로, 도쿄의 40 ㎍/㎥, 뉴욕 23 ㎍/㎥와 비교해도 월등히 낮은 수치다. 맑은환경본부는 대기오염 농도가 낮게 나타난 것에 대해 소나기가 내려 대기의 오염물질을 세정하고 비산먼지 발생을 방지했으며, 중국의 오염물질을 수반하는 서풍 영향이 덜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같은 결과는 자연의 힘에 의한 것만은 아니다. 고유가로 인해 자동차 운행량이 줄어든 것에 더해, 시정부 차원에서 대기오염 저감을 위해 CNG 등 청정연료 차량 보급 확대에 나서고 노후 경유 차량의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등 적극적인 대기오염 방지 노력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채희정 과장은 “서울시의 대기오염 수준을 정확히 평가하기는 쉽지 않다. 시 자체에서 발생하는 공해는 물론 황사와 같은 외부 공해 물질이 뒤섞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세계 다른 도시들과 비교해 볼 때 양호한 수준으로 개선되고 있다. 서울은 이미 90년대에 공장들을 교외로 이전시키는 등 많은 노력을 해왔고 최근에는 미세먼지, 질소산화물(NOx) 등 수송수단에 의한 오염을 줄이는 데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의 대기질 현황(2005년 기준)은 미세먼지, 질소산화물 오염도에서 도쿄, 파리, 뉴욕, 런던 등에 비해 높다. 이 오염 실태의 주요인은 연간 26만2,979톤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수송 부문에 있다. 이는 전체의 72.4%에 해당한다. 서울의 자동차 등록 대수는 올 4월 기준으로 296만 대인 데, 이 중 오염부하율이 높고 미세먼지를 많이 배출하는 경유 차량 비중이 30%나 된다.
수송부문의 환경개선을 위해 서울시는 ‘무저공해 자동차 보급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 이 계획은 크게 HEV, PHEV 등 차세대 자동차와 CNG, LPG 등 저공해 자동차로 구분한다.


운행 경유차 대책

채 과장의 설명에 따르면, 시의 최종 목표는 무공해차(ZEV) EV 도입인 데, 현재 자동차 메이커의 상용 수준을 고려해 LNG, CNG, PM-NOx 저감 제작차인 저공해차(LEV) 대체가 주요 사업이 되고 있다(표 1).
“신차의 경우엔 제조사들의 배출 총량제 적용과 EURO Ⅳ 기준에 따라 저공해차가 생산되고 있어 당장 운행 중인 경유차에 대한 대책이 서울시 환경정책 핵심이다. 이는 배출가스 저감장치 지원과 LPG 엔진 개조 보조금 지급으로 구체화된다. 저감장치 부착에 대당 700만 원을 지원하고 있고, LPG 개조에는 대당 400만 원을 투입하고 있다. 이 부문에 2014년까지 1조2,000억 원이 투입될 것”이라고 채과장은 말했다.
서울시의 경유차 저공해화 사업은 2005년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서울·경기·인천시 등 대기관리 권역을 대상으로 시행돼 왔고, 지난해 ‘맑은서울 2010 특별대책’으로 업그레이드됐다. 산화촉매장치(DOC), DPF 등의 매연 저감 장치 부착은 1단계에서 3.5t 이상, 7년 이상 노후 대형 경유차에 의무 장착이 적용됐었는데, 내년부터는 대상이 2.5t 이상으로 확대된다. 지난 6월까지 서울시가 행한 운행 경유차의 DPF, DOC 장착, LPG개조, 조기 폐차 등의 조치는 12만1,238대에 이르고 있다.


공공부문 CNG, HEV 도입 확대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와 청소차의 경우엔 곧바로 투입이 가능한 CNG로 급속히 대체 중이다. 경유차의 CNG 대체는 2010년까지 전량 교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미 올 6월까지 시내버스 4,938대, 마을버스 349대, 청소차 193대 등 총 5,480대를 교체했다. 또 이 차량들의 원활한 운행을 위해 각 권역별로 CNG 충전소 설치에 나서 지난 한 해에만 12개소의 CNG 충전소를 추가 설치했다. 충전소는 현재 하루 5,480대가 이용 중이며 가용량은 일 6,700대 수준인 데, 2010년에는 51개소, 9,500대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채 과장은 “HEV 버스는 현대 등이 개발 제작 중이며, 현재 2개 노선에 투입돼 시험운행 중이다. 이 차는 기존 차 대비 연비효율, 가스배출 감소 수준을 15% 끌어올린 차로 내년부터 일부 차량이 투입될 것이고 향후 더욱 개선된 풀 HEV가 2011년부터 투입될 계획”이라고 말했다.
CNG 마일드 HEV 버스는 2010년까지 1,12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이 버스는 올해 안에 시험 운행 평가를 마치고 내년 1월부터 양산 및 보급 의무화가 추진된다. 풀 HEV 버스는 2011년부터 시범 도입하고 2015년부터 도입이 의무화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배터리 교환형 EV도 2013년부터 도입을 시작해 2018년 의무화할 방침이다.
일반 승용차의 경우 그동안 HEV의 빠른 상용화, 보급 확대를 위해 공공기관 등의 HEV 구매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해 왔다. 서울시는 올해까지 76대의 HEV를 도입했고 이밖에 자치구 143대, 공사와 공단이 593대 등 도합 812대의 HEV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했다.
그러나 이 보조금 제도는 현대의 아반떼 LPG HEV가 내년 양산에 들어가면서 올해까지만 유지될 계획이다. “그동안 기관 등의 베르나, 프라이드 HEV 구입에 대당 1,400만 원을 보조하는 등 HEV 보급 확대에 서울시가 나섰었다. 또 서울시는 정책적으로 현대의 LPG 하이브리드 개발에 있어서도 토요타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의 강점인 LPG 인프라와 차량 기술을 적극 활용할 것을 건의키도 했다.”고 채 과장은 말했다.


환경, 경제 개선

이같은 친환경차 보급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소나기’가 지나간 하늘처럼 대기오염 수준은 현격히 개선될 것이고, 차량의 연비향상에 따른 시 예산 절감도 기대된다(표 3).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은 경유를 사용하는 현재 연간 48만7,000톤이 배출되고 있다. 그러나 CNG 차량을 도입하면 3%, 마일드 HEV를 보급하면 21%, 풀 HEV를 보급하면 56%의 감축 효과가 나타날 전망이다. 질소산화물은 2006년 현재 연 9,200만 톤이 배출되고 있는데, CNG 차로 대체하면 86%, 마일드 HEV 보급 시 89%, 풀 HEV 보급 시엔 94%가 감축될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적 측면에선 지난해 서울시의 운수회사 연료비 지원액이 2,616억 원이었는데, 2015년 기준으로 CNG 차만 도입될 경우 지원 예산은 2,262억 원, 마일드 HEV 도입 시엔 1,984억 원, 풀 HEV는 1,244억 원으로 재정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연간 280억 원 규모의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풀 HEV의 경우엔 45%나 절감된다.

 
바이오디젤 시범보급

채 과장은 “시의 친환경차 도입은 메이커들의 상용화와 관계있다. PHEV와 EV는 현재 빠른 충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고 있다. 수소차의 경우엔 국민들이 충전소를 대단히 위험한 시설이라고 생각하고 있어 시설 확보가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드컵공원 인근 시유지에 50억 원을 투입해 내년 시범사업으로 충전소를 설치할 예정이며 현대가 2개의 수소차를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친환경 자동차로 서울시가 주목하고 있는 또 다른 부문은 바이오디젤이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성동구 송정동에 연료 공급시설인 에코 스테이션을 설치하고 종로구, 중구, 성동구 등 7개 기관의 청소차, 건설장비 차량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그동안 사용 기관별로 개별 연간 단가 계약을 하여 행정 수요 과다나 상이한 공급가격 등의 문제가 발생했는데, 최근 서울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제 3자를 위한 단가 계약을 해 절차 간소화와 예산 절감을 가능케 했다. 



AEM_Automotive Electronics Magazine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