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개척시대’로 가는 미국
Part 4. PEV READNESS
2011년 06월호 지면기사  / 글│한 상 민 기자 <han@autoelectronics.co.kr>

포틀랜드 
여건: 환경에 민감한 시민들, 친환경 대중교통, 공격적인 온실가스 저감 계획, 온화한 기후, 적절한 친환경 에너지원, 적극적인 스마트그리드 사업, 전기차 구매 인센티브에 관대한 오레건 주정부 등 PEV에 유리한 환경 보유.
전개: 포틀랜드 제네랄 일렉트릭부터 에코탈리티(ECOtality)에 이르기까지 핵심적인 스테이크홀더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PEV 도입을 위한 마스터플랜도 마련. 신속한 충전설비 허가 절차, 전기차 우선주차 등 PEV 보급 가속화를 위해 힘씀. 

디트로이트 
여건: 다른 지역에 비해 인프라 구축에서 뒤쳐져 있음. 잦은 정전, 높은 화석연료 의존도, 최소 수준의 AMI와 미미한
충전소 등 PEV에 최적화된 환경은 아님.
전개: 최근에 들어 도시는 PEV 인프라 구축에 적극적임. 주, 시정부, 넥스트에너지(NextEnergy)가 중심이 돼 PEV 전략을 수행 중임. GM은 볼트를 출시하고 4,000기의 충전기 보급을 목표했고, 지역 전력사 DTE는 OEM, EVSE 프로바이더들과 제휴해 2,500개의 공공 충전소를 구축키로 함.

휴스턴
여건: 낮은 가솔린 값, 무계획적인 대중교통과 스프롤 현상, 오일과 가스 산업의 중심지, 픽업같은 연비 나쁜 차량의 높은  비율 등 이동성의 전기화 수행에 있어 부정적 환경을 지님.


전개: 이같은 장벽에도 불구하고 신속하고 공격적인 PEV 전략을 가동 중. 시정부는 온실가스 저감 계획을 수립했고 2009년 프로젝트 겟레디에도 동참. CARB 도입, 48시간 이내 가정 충전설비 허가 등 진보적인 PEV 계획을 더함. 시범사업으로 10대의 프리어스를 PHEV로 개조했고 2010년 시정부, 민간에서 300대의 PEV를 구매. EV Project에 대한 연방정부 지원과 에코탈리티와의 협력을 통해 인프라 구축 가속화. 휴스턴 첨단연구센터는 닛산과 협력해 PEV 로드맵을 개발. 

 

미국의 21세기는 전기차의 시대, 제2의 개척시대가 될 것인가.
미국에서 전기차 회의론자들은 오랫동안 높은 배터리 가격, 짧은 주행거리, 그리드 부하 문제 등 수많은 도전 과제와 장벽을 거론하며 전기차의 미래, 잠재력에 의문을 표해왔다. 그러나 지난 세대의 비판은 오비려 전기차와 관련된 이해 당사자들로 하여금 교훈을 찾고 상용화를 진전시키도록 했다. 미국의 환경은 10년 전과 비교할 때 드라마틱하게 변했고 전기차들은 확실히 미국의 요구에 부응하고, 지지를 얻고 있다.
다만, 이 차들이 도로 위를 달리는 것은 아직 본격화 되지 않았다. 또 그렇게 되기 위해선 반세기 이상 요구될지도 모른다. 도시들은 전기차에 완벽하게 준비돼 있지 않고 수많은 난관을 극복해야만 한다. 
지난해 롤란트 베르거(Roland Berger)는 록키마운틴 연구소(Rocky Mountain Institute, RMI)와 공동으로 미국의 전기차 시장 대응 현황을 조사하고 “준비된 전기차(PEV Readiness Study)”란 보고서를 내며 “미국의 PEV(Plug-in Electric Vehicle)는 얼마나 빨리, 어디에서부터 시작될 지를 논하는 단계에 왔다”고 정의 내렸다. 여기서 ‘Readiness’는 전기차가 시장에 뛰어들 수준에 올랐고,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기 시작했으며, 충전소 구축과 차량 구매 인센티브 등 모든 방식을 고려해 보급을 가속화할 때를 의미한다.


세기의 출발점에서

전기차의 선구자를 자처하는 도시들은 이미 등장했다. 스마트한 친환경 정책, ‘프로젝트 겟레디(Project Get Ready)’와 같은 다양한 인프라 이니셔티브, 편리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결합시킨 도시의 리스트가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오스틴, 피닉스, 샌디에이고, 덴버, 포틀랜드, 샌프란시스코, LA, 롤리, 새너제이, 뉴욕, 리버사이드, 시애틀, 올랜도, 새크라멘토 등의 도시는 미국의 톱 50 도시 중에서도 손꼽히는 PEV 리더들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가솔린 자동차의 본산 디트로이트, 세계 최대의 정유산업을 지닌 휴스턴, 포드의 고향이자 ‘레이싱’의 메카 인디애나폴리스 등도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정도로 PEV 대응에 바짝 따라가고 있다.  
PEV를 위한 개척시대에 돌입한 도시들에서 핵심적 이해 당사자들은 PEV의 초기 비용 문제를 해결하고,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관련 투자를 유치했고 각종 우선권을 확보하며 이동수단의 전기화에 동참하는 후발 도시들에게 벤치마킹 되고 있다.

법제도의 준비

PEV를 위한 관련 제도 마련은 전기차 구매와 인프라 구축 등 수요·공급 측면 모두를 고려해 이뤄지고 있으며‘당근’과 ‘채찍’이 병행되고 있다.
PEV 시장에서 주 또는 연방정부의 인센티브 정책은 시장이 성숙하면 자연스럽게 소멸될 것이지만 초기의 수요 촉진에 있어 중대한 역할을 한다. 구매 보조금을 지원하거나 세제혜택을 주는 한편 각종 특권을 부여하는데, 2010년 가을 현재 미국의 톱 50 도시 중 전기차 등록 및 테스트 면제 등의 특혜를 부여하는 도시는 전체의 16%에 이른다. 우선 주차(preferred parking) 제도를 도입한 주는 16%, 다인승전용차(HOV) 진입을 허용한 주는 44%다. 인프라 구축과 세제지원을 약속한 주는 60%다.



세제지원, 구매 인센티브와 함께 중대한 역할을 하는 것은 주요시장에서 OEM들에게 그린카 의무 판매를 강제하는 캘리포니아 대기자원위원회(CARB)의 배출규제 정책이다. CARB의 규제는 동부와 서부 해안 대부분의 주정부들과 아리조나, 텍사스 등 서부 내륙의 주요 주에서 이미 도입했거나 검토 중이다.


충전 인프라

충분한 인프라가 준비되지 않는다면 전기차의 잠재적 온실가스 저감 능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주행불안증(range anxiety)이 야기돼 PEV가 소비자들에게 어필하지 못해  보급이 어려워 질 것이다. 다행히도 미국의 전력회사들과 기타 이해 관계사들, 시정부는 서로 힘을 모아 신중한 투자, 실용적 전략을 짜며 인프라 구축을 시작했다.
인프라 관련 논의는 지난 몇 년 간 빠르게 성숙되며 실용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산업화로 전개되고 있다. 대부분 스테이크홀더들은 공공 충전소에 포커스했었지만 사용되지 않거나 효율적이지 않은 충전장치(EVSE)의 배치 문제는 너무 적은 충전소 수만큼이나 문제가 됐다. 결국 그 동안의 경험을 통해 충전은 대부분 가정과 직장에서 이뤄질 전망이다. 때문에 유비쿼터스한 공공 충전소의 구축은 미국에서는 더 이상 중요한 포인트로 여겨지지 않고 있다.
인프라의 준비는 현재 충전 포인트의 구축, 그리고 깨끗하고 안정적인 전기 공급과 발전이란 두 가지 관점에서 전개되고 있다. 이동성의 전기화에서 주행불안증은 충전 포인트가 첨단 미터링 기술을 통해 그리드 부하를 스마트하게 조절하고, 충분한 공공 충전소가 구축되면서 극복될 것이다. 전기는 온실가스 저감을 최대화하기 위해 가능하면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발전돼야 한다. 일관된 정책, 전략을 통해 인프라 구축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전기화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질 것이다.  
롤란트 베르거는 대부분 충전이 가정에서 이뤄질 것이기 때문에 100대의 PEV 당 1개의 충전소면 초기시장에서 전기차의 주행불안증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충전소 구축 규모를 광범위하게 가져가 수십억 달러의 비용이 소요되고, 또 달갑지 않은 데이-타임 충전을 장려하는 전략을 세웠던 도시들에게 합리적인 계획 수립을 가능케 할 희소식이다. 도시들은 인프라 프로바이더와 파트너십을 맺고, 연방정부의 지원, 레버리징을 통해 더욱 부담을 최소화하고 있다.



한편, 그리드 부하 관리를 위한 스마트 미터링은 여전히 많은 도시에서 열린 이슈로 남아있다.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회사들의 우선 사항이기 때문에 이들이 스마트 미터링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다. 미국의 스마트 그리드가 걸음마 단계에 있지만 몇몇 전력회사들은 이미 공격적인 계획을 발표했고, 대부분 메이저급 전력회사들은 독립적인 프로젝트로 PEV 관련 스마트 미터링, 또는 PEV와 관련 없는 다양한 스마트 미터링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스마트 그리드 사업의 본격적 전개는 수년은 걸릴 것이고, 이는 PEV의 보급 속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소도시들은 이전의 전력 관련 투자 상황이나 정책 불가지론적 경향으로 볼 때 소극적이지만, 배출과 전기 관련 안전성 이슈에 대해서는 고민하고 있다. 이들 도시들은 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포커스를 두고 전기차가 줄 온실가스 저감 능력을 활용할 것이다.



적극적 홍보

PEV는 몇 해 동안 태평양과 대서양 연안 도시들을 중심으로 제공될 것이다. 전기차를 구매하게 될 잠재 고객들은 지역의 인프라나 인센티브 정책과 관계없이 분포한다. PEV는 시간이 갈수록 일반 소비자들에 의해 수요와 공급이 결정될 것이기 때문에 도시는 빠르게 엘리트 계층의 니치마켓을 매스마켓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대중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하고 이동성의 전기화 속도를 높여야 한다.
PEV에 대한 소비자 수요는 환경에 대한 민감성, 이미지에 대한 고려, 부와 프리미엄, TCO(Total Cost Ownership), PEV가 가져오는 혜택에 대한 인식, 대안교통의 옵션과 연계 등에 영향을 받는다. 초기시장에서 PEV는 환경에 민감하고, 비교적 부유하며, 하이브리드 카 보급률이 높은 지역에서부터 보급될 것이다. 특히 하이브리드 카는 전기차의 선행지표다. 가격 프리미엄, 연비, 이미지, 지역 공해 영향과 같은 다양한 사항에서 하이브리드 카의 보급 양상은 PEV와 유사한 성격을 띤다.
그러나 여전히 PEV에 대한 소비자 수요는 확신하기 힘든 상황이고, 이에 따라 다른 스테이크홀더들 또한 소비자들의 수요, 마음가짐의 준비를 가늠하며 기회를 엿보고 있다. 인센티브와 각종 특혜는 비용 측면에서 전기차의 상품성을 높일 것이고, 도시는 이같은 정책 수립과 함께 지역의 대기오염도 등 환경 영향과 잠재성에 대한 대시민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소비자들을 마음을 움직일 것이다. 환경과 전기차에 대한 교육에서 전력회사들의 역할은 특히 강조된다. 한편, 자동차 메이커들은 딜러들이 잠재적인 PEV 수요자들에 대한 대응채비를 갖추는 동안 전기차 개발 투자에 지속적으로 나서며 비용과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운행 환경

법제도, 인프라, 소비자들의 준비는 성공적인 PEV 에코시스템 구축에 중대한 요소들이다. 이와 더불어 PEV가 얼마나 실제적으로 운행될 수 있는가 또한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PEV의 성능과 충전 기술이 향상되면 차값은 자연스레 떨어지고 인센티브는 소멸될 것이다. 또 이에 따라 운행 환경의 많은 요소들은 갈수록 덜 중요해질 것이다.
PEV의 운행 환경은 단기적 대응으로 개선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초기 EV시장 활성화 노력에서 반드시 고려돼야할 사안이다. 예를 들어 운행 환경 요소에는 운행 패턴, 기후, 가솔린과 전기값, 차고의 가용성 등이 있다. 현재의 전기차들은 운행거리의 제한과 온도에 민감하다는 핸디캡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초기의 PEV는 온화한 기후와 적당한 주행거리를 지닌 도시들에서부터 상용화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운행 환경에서 또 다른 핵심 고려사항에는 에너지 비용이 있다. 가솔린 값과 전기값 모두 PEV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가솔린 값이 높고 전기값이 낮다고 하더라도 보조금이 없다면 어떤 도시에서도 PEV의 성공은 장담할 수 없다.
장기적으로 정부는 PEV의 운행 환경 개선을 위해 비용과 기술 향상에 초점을 맞출 것이고 유류세 등 에너지 비용 관련 정책, 배출 규제, 도시의 스프롤(sprawl) 현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책을 통해 PEV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 갈 것이다. 다만 이같은 정책을 원활히 전개시키기 위해서는 거시적 경제현황, 이해관계자들의 압박 등 수많은 난관을 극복해야만 한다.


편의와 이해를 위한 행정

PEV에 영향을 줄 또 다른 레버로는 가정용 충전기 설치와 관련한 프로세스가 있다. 미전력연구센터(EPRI)에 따르면 80%의 PEV가 가정에서 충전하기 때문에 차고에서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 설치가 보장돼야만 하는데 지역적, 규제적 요소로 인해 그 동안 허가 발급이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인 면에서 원활치 못했다.



예를 들어 2009년 뉴욕, 뉴저지, 캘리포니아 등지에서 PEV 실증 테스트에 나선 BMW는 지역 당국으로부터 충전기 설치 허가를 받는 데에만 7개월이란 시간을 낭비했다. 차가 도착한 이후 한 달 간 테스트를 위해 가정에 고압의 충전 시스템을 설치해야 했는데, 지방정부들은 수영장과 기타 주변 전기장치들을 고려하며 시스템 설치를 반대했다. 이같은 사안은 반드시 하루에서 이틀 내에 마무리 되도록 수정돼 PEV 구매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돼야한다.
BMW의 사례가 교훈이 돼 허가와 관련된 이슈는 빠르게 개선돼 가고 있다. 연방정부가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동안 지방 정부들도 그들 나름의 법규와 절차를 마련하고 있다.
미국의 대중들은 여전히 PEV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방정부, 전력회사 등의 많은 스테이크홀더들도 어떻게 PEV와 새로운 기술이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 언제 어디서 충전을 하고 전기적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지와 같이 PEV의 적절한 사용과 이점을 대중에게 알리고 교육을 하는데 있어 전력회사들의 역할 수행이 강조 되고 있다.

PEV 시대를 향한 미국의 첫 번째 파도는 파이오니어가 되기 위해 값비싼 대가를 지불한 몇몇 도시들을 통해 밀려왔다. 이들 덕분에 두 번째의 조류는 2~3년 내에 더욱 강력하게 밀어 닥칠 것이다.

<도표 생략>
 



AEM_Automotive Electronics Magazine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