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SEL.?
폭스바겐 사태와 디젤차의 존망
2015년 11월호 지면기사  / 글│김 필 수 교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대림대학교 김필수 교수가 폭스바겐 디젤 사태의 전개와 미래에 대해 말한다. 김 교수는 이번 사태를 폭스바겐만의 문제로 보지 않는다. ‘클린 디젤’의 명성을 크게 훼손시켰고 기술적 한계를 노출시킨 역사적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 ‘연비’란 강점이 디젤의 한가닥 희망이 되고 있다.


근본적 문제

폭스바겐 사태는 진행형이다.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디젤엔진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폭스바겐이 배기가스 기준을 맞추기 위한 무리수를 두면서 촉발된 사태는 폭스바겐만의 문제가 아닌 디젤차 전체에 대한 불신을 키우는 계기로 작용했다는 심각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최근 벤츠나 혼다 등 다른 메이커의 디젤차도 운행 중 질소산화물 등 유해물질이 규정치보다 몇 배 이상 높다고 발표되면서 문제가 확산됐다. 약 130년 간 내연기관차를 이끌어온 가솔린과 디젤의 균형이 깨지는 현장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디젤이라는 연료가 안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다. 지저분한 연료인 만큼 엔진이나 각종 배기후처리장치를 통해 걸러주는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그대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한계가 있다. 아무리 좋은 장치가 개발돼 장착되도 노후된 차의 경우 장치의 기능이나 수명이 다하면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다.

이미 파리 등 유럽 주요 도시는 노후 경유차 출입 제한을 두는 LEZ 제도를 서두르고 있고 확산 중에 있다. 서울시도 이 제도의 도입을 검토 중이다. 이번 사태는 분명히 디젤차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을 달리하는 계기가 됨은 물론, 향후 전망도 불투명하게 만들었다.

국내만 하더라도 지금까지의 승용 디젤차 선호 현상이 주춤하고 있고 상기한 LEZ 제도 도입은 물론 강화된 오염원에 대한 감시와 조건 강화, 환경개선 부담금 등 부정적인 제도 도입에 대한 강화가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일반인의 시각이 부정적으로 바뀌면서 선호 현상에서도 중요한 기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수입차의 절대 선호 부분에서 디젤차는 한계가 나타나면서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소형 디젤엔진 적용부터 시작해 중대형 디젤엔진으로 개발보급을 촉진하고 있는 현대차 그룹도 고민이 많아질 것이다.


최대 변수 규제 강화

중요한 전략 수정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세계시장에서 유럽을 중심으로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 시장을 노크하던 유럽 기반의 디젤차도 한풀 꺾이면서 방향 전환이 예상되고 있다. 위상 추락과 함께 세계 글로벌 메이커의 합종연횡이 시작되는 계기도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의 디젤차에 대한 가능성을 점쳐보면 몇 가지 측면을 집중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우선 폭스바겐 사태가 조기에 정리될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계열사의 조기 매각과 리콜 등으로 소비자의 재신임을 받으면서 빠르게 부활하는 것이다. 그러나 폭스바겐 본사의 이미지 추락에 대한 조기 정리 희망과는 달리 천문학적인 비용과 이미지 제고는 그리 쉽지 않을 것이다. 아직도 소비자 소송 등 각종 문제점이 남아 더욱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은 분명히 디젤차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간단치 않음을 말한다. 이미 ‘클린 디젤’에 대한 명성은 금이 갔고, 다른 대안을 찾고 있다는 것은 더욱 디젤에 대한 미래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이유가 된다.

둘째, 다른 메이커로의 확산 가능성이다. 다른 메이커도 자유스럽지 못하다는 인식은 디젤차가 한계점을 안고 있었다는 것이 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 정부의 향후 조사결과가 우려되는 부분도 부담이다.

셋째, 친환경차의 본격적인 부상이다. 분명히 토요타의 가솔린 기반 하이브리드 카와 현대차 그룹의 짧은 반사 이익이 그대로 끝나지 않고 장기간 주력 요소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안정적으로 판매가 증가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카는 더욱 시장 점유율이 높아질 것이고 전기차의 기본 약점도 2017년을 기점으로 줄어들면서 기존 관행을 무너뜨릴 수 있다. 폭스바겐 사태가 불에 기름을 부은 효과는 벌써 나타나고 있다. 각국의 친환경차 정책적 지원과 활성화 움직임은 향후 소비자 시각이 바뀌면서 자동차 역사에서 큰 획을 긋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넷째, 환경에 대한 각국의 강화 움직임이다. 환경기준과 연비기준이 까다로워지고 강화되면서 디젤차에 대한 기술적 한계가 빠르게 올 수 있다. 특히 환경세 관련 제도적 부담은 소비자의 디젤차 인식을 바꾸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연비’란 동아줄

2030년에 디젤차는 사라질 것인가?
필자는 아니라고 판단한다. 지난 130여 년간 존재한 바와 같이 석유자원이 존재하는한 디젤차는 변화를 수용하면서 가솔린차와 더불어 살아날 것으로 판단된다. LPG 차도 다양성을 더하면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 또, 경우에 따라 이번 사태가 전화위복이 되면서 새로운 디젤차가 등장할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디젤차의 한계는 분명히 있지만 새로운 기술개발의 가능성은 가솔린차보다 높다고 말하곤 한다.

타 기술과 타협점도 찾으면서 융합형 디젤 모델이 등장하면서 나름의 생명을 유지할 가능성도 크다. 환경규제가 변수이긴 하지만 소비자는 환경보다는 연비에 신경을 쓰는 것도 디젤차에게 유리하다. 배출가스 측면에서 매연 등 디젤차의 악조건이 크지만 이산화탄소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배출되는 강점도 있다. 이는 디젤차가 생존할 수 있는 강력한 이유이기도 하다.

분명한 것은 현 사태가 지난 자동차 역사에서 큰 획을 긋는 역사적 사건이란 것이다. 우리는 그 변화와 격랑 속에서 제대로 대처하면서 미래를 보는 시각을 가져야만 한다. 실시간적인 시각으로 철저한 분석력과 냉정한 판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AEM_Automotive Electronics Magazine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