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기이동성의 `심볼`이 된 BMW
환경부와 초대형 전기차 컨퍼런스 개최
2013년 07월호 지면기사  / 글ㆍ정리│한 상 민 기자 <han@autoelectronics.co.kr>

국내 전기차의 민간 보급이 막 추진되고, 다수의 전기차 모델이 론칭을 앞둔 상황에서 세계적인 프리미엄 메이커 BMW가 환경부와 한국의 전기이동성을 지원했다. 5월 BMW그룹코리아가 환경부와 함께 ‘E-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과 발전 방안’이란 주제로 관련 정부기관, 기업, 학계 전문가를 초청 하얏트호텔에서 공동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한국에서 이런 규모의 전기차 컨퍼런스, 혹은 세미나가 열린 적 있나요? 규모는 아니더라도 OEM이 주도한 적은 있나요?” 
다수의 참석자에게 같은 질문을 했다. 지난 5월 BMW그룹코리아가 환경부와 함께 ‘E-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과 발전 방안’이란 주제로 관련 정부기관, 기업, 학계 전문가를 초청 하얏트호텔에서 공동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컨퍼런스에는 전기차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했다. 
아니나 다를까 플로어뿐만 아니라 강연에 나선 연사들도 이구동성 “국내에서 이런 대규모의 전기차 컨퍼런스는 처음”이라고 언급했다. 
국내 전기차의 민간 보급이 막 추진되고, 다수의 전기차 모델이 론칭을 앞둔 상황에서 세계적인 프리미엄 메이커 BMW가 한국의 전기이동성을 지원했다. 
BMW그룹 코리아의 김효준 대표이사는 같은 질문에 “컨퍼런스는 BMW의 프리미엄 브랜드 마케팅 차원의 행사가 아니다. BMW는 환경, 자원문제 대응에서 전기차 보급이 중요하다는데 동의하고 있고, 우리가 다른 데보다 늦었기 때문에 이번 행사를 개최하게 됐다”고 말했다.
컨퍼런스는 전 세계적 CO2 감축을 위한 국내 전기차 시장 활성화 정책 마련을 위해 개최됐다. 4개 세션으로 진행된 행사에는 BMW그룹 대외정책 부문 글랜 슈미트(Glenn Schmidt) 이사, 환경부 박광칠 서기관, 한국교통연구원 황상규 본부장, 삼성SDI 김기호 상무, 한국전기연구원 임근희 센터장, 포스코 ICT 이규제 부장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환경부 윤성규 장관은 축사에서 “환경부는 그동안 국내 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정책 및 제도 마련에 많은 준비를 해왔다”며 “곧 국내에도 선진화된 전기차 시장이 구축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조강연을 맡은 서울대 소비자학과 김난도 교수는 “수년간 한국의 소비 트렌드를 조사 발표해 오고 있는데, ▶오너십에서 유저십으로의 이동 ▶스마트한 퍼블릭 유틸리티의 추구 ▶에코에서 럭셔리를 찾는 방법 ▶소비자의 사회발전 적극 기여 등 4가지 메가트렌드를 발견했다”며 “전기차는 단순히 자동차의 한 종류가 아니라 소비 트렌드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미래이동성의 패러다임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전기차의 환경적 필요성과 이에 대한 정부의 비전과 정책, 배터리의 기술적 진보 등이 논의됐다. BMW는 친환경 동력을 기반으로 한 미래 이동수단으로서의 전기차 개발 의의를 설명했고, 환경부는 국내 전기차 시장 개발의 어려움과 계획을 말했다. 
컨퍼런스의 최대 이슈는 각기 다른 충전 방식의 전기차 모델 론칭이 임박하면서 전기차 급속충전 방식의 시장 표준화였다. BMW가 내년 5월에 출시할 전기차나 GM 스파크는 콤보 방식이다. 반면 현대ㆍ기아자동차는 차데모 방식, 르노삼성은 AC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시그넷, 효성, 한화테크엠 등 충전기 업체가 이른 아침 로비 디스플레이 순서를 정할 때부터 티격태격했고, 본 세션에서는 BMW와 현대ㆍ기아자동차가 대립했다. BMW그룹 코리아의 모리츠 클린키쉬(Moritz Klinkisch) 매니저가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57%가 콤보 방식이고, 차데모 방식은 38%, AC방식은 5%에 그치고 있다”고 발표하자, 플로어의 현대ㆍ기아차 관계자는 “이같은 수치의 근거를 정확히 밝혀 달라”고 발끈했다. 
포스코ICT의 이규제 부장은 “수차례 공청회를 진행했지만 표준화를 둘러싼 업체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다”며 “시장에 맡기면 소비자가 결국 원하는 충전 방식과 차량을 선택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전기연구원의 임근희 센터장은 “방식의 표준화가 어렵다면 충전기가 다수의 충전 방식을 공유하는 것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카 셰어링, 충전 지불 방식, 배터리 리스 등 비즈니스 잠재력, 제주특별자치도의 ‘탄소 없는 섬 제주 2030(Carbon Free Island 2030)’ 프로젝트 등이 자세히 소개됐다. 



AEM_Automotive Electronics Magazine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