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국내 대표 자율주행 스타트업과 손잡고 자율주행 기술 경쟁력 강화와 판로 개척에 본격 나섰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8일 오전 오토노머스에이투지(Autonomous A2Z)와 ‘자율주행 경쟁력 강화 및 국내외 판로 공동 개척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내 자율주행 기술 주도권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겠다는 취지다.
양사는 공동 연구·개발(R&D), 사업 기회 발굴, 자율주행차 제작 및 공급 등 단계적 협력 과제를 추진한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안전관리 시스템과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자율주행 차량을 연동해 기술적 완성도를 높이고, 국내 시장에서 우선 적용한 뒤 해외 판로를 개척하는 방식이다.
중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자율주행차 100여 대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이 목표다. 내년 말까지는 국산화율 90% 이상을 달성한 한국형 레벨4 자율주행차 ‘ROii’ 10대를 정부·공공기관·운송사업자 등에 우선 투입할 계획이다. ROii는 내달 부산에서 열리는 2025 APEC 정상회의의 공식 자율주행차로 선정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번 협력은 두 회사의 첫 만남은 아니다. 카카오모빌리티와 오토노머스에이투지는 서울시 새벽동행 자율주행 버스, 대구 수요응답형 ‘달구벌 플러스’ 프로젝트 등에서 카카오모빌리티가 제작한 HD 지도 인프라를 기반으로 협업한 바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달 안으로 다른 국내 자율주행 기업들과도 순차적으로 협약을 맺고 생태계 확장에 나설 예정이다. 회사 측은 “2021년 출범한 ‘KM 자율주행 얼라이언스’가 이번 협력의 마중물이 됐다”고 설명했다. 당시 카카오모빌리티는 오토노머스에이투지를 비롯해 에스더블유엠, 토르드라이브, 마스오토 등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한 바 있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해외 자율주행 선도기업들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상용화를 추진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며 “차량 제조사, 개발사, 플랫폼사가 유기적으로 협업해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율주행도 자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생적 혁신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AEM(오토모티브일렉트로닉스매거진)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