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전기차(Pure Electric Vehicle, P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의 전기차 시장을 예측한다는 것은 대단히 까다로운 일이다. 어떤 ‘와해성 기술(disruptive technology)’이 시장에 나타나지 않은 상황에서 예측은 위험스러울 수 있다. 또 PEV와 PHEV의 시장 성공은 정부와 깊이 연관되는데, 특히 글로벌 차원에서 정부의 정책을 예측하기란 매우 힘든 일이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전기차 시장의 성장 타이밍에 대해 견해를 달리하며 많은 부문에서 의구심을 갖고 있긴 하지만, 대체로 PEV와 PHEV가 미래의 개인 이동성의 중요한 키 옵션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데는 동의하고 있다.
정부는 전기차 시장의 수요ㆍ공급에 있어서 핸들을 쥐고 있다(그림 1). 유럽 정부는 2020년까지 강력한 자동차 CO2 저감 정책을 추진 중이며 미국과 일본도 유럽의 규제를 따라가고 있다.
전기차에 대한 각국 정부의 사전적 대응과 영향력이 실패로 돌아간다면, 필연적으로 전기차 시장의 발전 속도 또한 느려질 것이다. 정부는 고객의 수요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공급 목표 달성을 뒷받침할 것이다. 인센티브는 초기 시장 개발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주행 불안증
2020년이 되기 전, 자동차 구매자들은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카(Hybrid Electric Vehicle, HEV), PHEV, 레인지 익스텐더(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EREV), PEV 등의 매우 광범위한 파워트레인 기술의 차량에서 새 차를 구매하게 될 것이다. 구매자들은 어떤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하기 전,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어떤 기술이 개인적 요구와 일치하는지 비교하게 될 것이다. 이 요구사항은 기본적으로 소비자들의 이동성 요구, 가격 제한, 개인 취향 및 이미지와 관련된다(그림 2).
전기차는 이같은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어야만 내연기관차와 경쟁할 수 있고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파워트레인을 대체할 만한 매력적인 대안을 제시해야만 하는 상황이다(그림 3).
사람들은 그들이 원할 때, 원하는 곳에 그들의 차량을 타고 가길 원한다. 일부는 차량 크기와 유형에 따라 이동성에 제약이 있지만, 개인 이동성은 대체로 무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전기차는 이 관점에서 대안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전기차는 차주가 가고 싶어 하는 곳에 갈 수 있는 충분한 운전 범위를 제공해야 성공할 수 있다. PHEV와 EREV는 순수 전기 드라이브 모드에서 약 10~60 km의 매우 제한적인 운전 범위를 갖는다. 그러나 이것이 전반적인 이동성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물론, 백업 모드인 가솔린 엔진으로도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드라이브트레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고객들 관점에서 전기 주행거리는 제한적이며 기술적 단점이 된다. 인테리어 공간 또한 두 가지 파워트레인이 요구하는 패키지로 인해 제한적이다.
대안 차 중에는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에 의해 주행거리가 결정되는 PEV도 있다. 이 차량은 향후 10년 이내에 내연기관으로 구동하는 차량의 주행거리를 제공하지는 못할 것이다. 그러나 PEV는 도시 주행에서 충분한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가정의 세컨드 차로서 좋은 옵션이 될 수 있다. PEV의 제한된 주행거리는 ‘주행 불안증(Range Anxiety)’을 야기한다. 이같은 경향은 배터리 충전량이 50% 이하로 내려가면서 나타나는데, PEV가 시장에서 크게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솔루션을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