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조사업으로 EV시장 개발 촉진
구조변경, 차령 5년 미만 제한 아이러니
2012년 01월호 지면기사  / 글│파워프라자 강 오 순 팀장

전기차는 반드시 해야 할 차로 평가받는다. 다가올 미래의 신성장 산업으로 기술 확보, 표준 모델의 선점 등의 중요성에 따라 적극적 대응이 요구된다. 전기차 개조산업은 전기차 시장 형성을 촉진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업계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 정책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EV 개조 100만 대 규모

지구온난화를 극복하기 위한 탄소배출량 규제와 에너지 위기의식 고조. 해마다 각국 주요 기업들은 앞다퉈 프랑크푸르트모터쇼에서 전기차 컨셉트 카 및 양산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자동차 파워트레인이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빠르게 변화해 가고 있다. 우리 정부는 이같은 트렌드에 대응해 2010년 12월 제10차 녹색성장위원회 보고대회에서 ‘그린카 발전 로드맵’을 발표하며 총 4조 8,000억 원을 투입해 세계 4대 그린카 기술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로드맵을 마련했다. 그러나 눈앞에 다가올 것만 같았던 전기차 시대의 개막은 여전히 기술적 문제, 차량 가격, 기업들의 이해관계로 멀게만 느껴진다.
이같은 상황에서 전기차 시대를 앞당길 또 다른 툴로 노후화 된 내연기관차의 전기차 개조사업이 선진국에서 주목 받고 있다. 미국 환경보전국에 따르면 내연기관차는 주행거리 당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이 1만마일 주행마다 25%씩 증가한다. 내연기관차가 노후화됨에 따라 엔진, 촉매변환장치 및 기타 매연저감장치의 효율이 점점 낮아지면서 신차 대비 오염물질 배출이 90%까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대기오염 물질 저감을 위해 새로운 전기차 보급만큼 기존의 노후화 된 내연기관의 개조가 중요한 상황이다. 개조 전기차는 노후화 된 내연기관차를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리사이클링 등 다양한 효과도 이끌어낸다.
미국과 유럽 등 자동차 선진국에서는 이미 전기차로의 개조를 허용했거나 기준을 대폭 완화했고, 보조금도 지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연방정부는 10%의 세금감면 혜택(4,000달러까지)을 전기차 개조에 적용해 개조를 적극 지원하기 시작했다. 일본의 우정그룹 우편사업부의 경우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2만 1,000여대의 전체 차량을 전기차 도입 및 개조차로 대체키로 했다. 일본 정부는 또한 개조한 전기차의 등록허가를 넘어 ‘전기차 KIT 모듈 규격화’를 추진 중이다.
현재 전기차 개조사업이 합법화된 북미시장의 경우 구조변경 차량은 2012년까지 1만 대 규모의 도입기를 거쳐 2020년 100만 대 규모의 성장기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판매 실적은 아직 초기단계로 미미한 수준이지만 최근 들어 배터리 회사들이 전기차 개조사를 인수해 개조사업에 진출하면서 점차 활기를 띄고 있다. 현재 미국 내에는 10여 개의 전기차 개조사가 개조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부분 파일럿 차량을 만들어 운영 중이다.
국내에서도 많은 중소기업들이 전기차 개조사업에 진출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파워프라자의 경우에도 2009년에 0.5톤 화물차를 필두로 해 1톤, 소형 승용차 등을 개조해 운용 중이다. 새해에는 신뢰성을 공식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자동차성능연구소에 의뢰해 인증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자동차관리법 개정돼야

전기차 보급에 가장 큰 걸림돌은 일반 내연기관차 대비 월등히 높은 차량 가격이다. 대략적인 가격은 4,000~5,000만 원선인데 이는 일반적인 내연기관차의 2~3배 정도다.
지난해 처음으로 실시됐던 우리 정부의 전기차 보급사업도 당초 계획했던 800대에서 540대로 축소됐는데 가격 문제가 큰 영향을 미쳤다. 때문에 2010~2012년 전기차 보급 목표는 4,000대에서 2,500대로 하향 조정됐다. 정부는 비싼 가격과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보급 목표를 줄였다.
전기차 개조사업이 일어난다면 일반 내연기관차에 모터 구동장치와 배터리 시스템을 장착함으로써 새 전기차 대비 1/2~1/3 저렴한 가격, 운용 시 내연기관차 대비 1/7 수준의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목표 달성에 큰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전기차 개조는 기존 내연기관차의 주요부품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적은 수의 부품을 결합해 제작할 수 있다. 이같은 특징은 진입장벽이 높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개조 전기차는 중소기업의 신성장 동력산업이 될 수 있다. 전기차 개조산업 활성화를 위해 개별기업은 부품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고, 다양한 관련 기업들과 폭넓은 협력관계를 구축해 가격과 성능에서 경쟁력을 갖춰야 할 것이다. 기술의 표준화와 다양한 기술의 융합이 필요하고, 업계의 어려움과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협회 창립도 시급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2월 18일 개정된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이 발효되면서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구조변경 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그러나 “차령이 구조변경 승인 신청일 현재 5년 미만이어야 한다”는 규칙 등으로 인해 전기차 개조산업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전기차 개조산업의 근본 취지가 노후화 된 내연기관차를 개조해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저감에 있는 만큼 이는 시급히 개정돼야 할 것이다. 또 개조차 보급을 위한 보조금, 세금감면 등 정책적 지원이 따라야 할 것이다.



블룸버그 통신의 신에너지금융(BNEF)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차의 핵심부품인 배터리 가격은 현재 kWh 당 약 800~1,000달러를 호가하고 있지만 2020년에는 kwh 당 350달러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또 구동장치의 중심에 있는 모터의 경우 구동방식에 따라 샤프트 동력 분배방식, 직구동 모터 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구동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전기차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30% 이상 향상된 직구동 모터 등 전기차 개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기이동성 촉매제

전기차 시장은 내연기관차 대비 약 3~4배에 이르는 가격, 배터리 가격이 전체 차값의 50%에 이르는 구조, 배터리 신뢰성 확보 문제, 충전시간과 완충 시의 주행거리의 제한, 충전 인프라의 빈약 등 다양한 문제를 풀어내야만 활성화 될 수 있다.
이같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세계 각국은 전기차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전기차가 반드시 해야 할 차이기 때문이다. 다가올 미래의 신성장 산업으로 기술 확보, 표준 모델의 선점 등의 중요성에 따라 적극적 대응이 요구된다. 전기차 개조산업은 전기차 시장 형성을 촉진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업계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 정책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