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옴 1700V 내압 SiC-MOSFET 「SCT2H12NZ」 개발
최근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범용 인버터 및 제조장비 등 산업기기에 있어서 저전력화를 실현하는 파워 반도체가 채용되고 있다.
2016년 09월호 지면기사
멘토그래픽스, 월든 C 라인스 회장 방한 반도체 산업 성장 동력으로 자동차·IoT 주목
한국멘토그래픽스가 파운드리와 PCB 등의 기존 반도체 및 전자 등 산업을 비롯해 오토모티브와 IoT 적용 반도체 애플리케이션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친환경차 보급정책, 가속도 약하다
대림대학교 김필수 교수는 정부가 친환경차 보급 촉진을 위한다면 더욱 획기적인 조치를 내놓아야 할 것이라며 정부의 의지와 진심이 전달돼야 소비자가 반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량 안전과 보안 - 통합적 접근 필요 커넥티드 카, 변화된 위험 인식을 요구하다
자동차 밖에서 내부 IT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다. 커넥티드 카는 새 기회임과 동시에 위험을 수반하기 때문에 위험평가 및 보안 아키텍처를 근본적으로 재평가해야 한다.
고장 메커니즘 활용 E/E 시스템 신뢰성, 수명예측 Sherlock과 함께 개발시간·비용 싹뚝!
E/E 신뢰성 예측 분야에서 최고 전문성과 테슬라 오토파일럿 등 여려 현장 경험을 지닌 DfR Solutions의 길라드 샤론 박사가 한국을 방문했다. 엑슬리트 엣지 사옥에서 그를 만났다.
마일드 하이브리드로 가는 다임러 다임러 테크데이 - 드라이브트레인
6월 다임러는 친환경 파워트레인에 2년 간 약 8조 5,400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다임러는 전 모델에 내연기관과 배터리 파워 구동 시스템을 모두 제공하는 전 세계 유일 카 메이커가 될 것이다.
자율주행을 위한 ECU 아키텍처 및 통합 절차
도메인 ECU는 플랫폼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중앙에서 데이터를 처리한다. ADAS의 ECU 아키텍처 요구사항과 현재 양산 개발에 사용되는 새로운 솔루션에 대해 설명한다. 문의│(주)한일프로텍, hanilprotech@hanilprotech.com
티티텍, 2017년 양산 아우디 zFAS ECU 개발 Ethernet 상용화로 MOST, FlexRay 소멸…
티티텍의 게오르그 니드리스트 박사와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 기능안전성 확보, 이더넷 도입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티티텍의 자율주행 플랫폼은 아우디를 통해 상용화된다.
DGIST-이에스지, 국내 자율주행 개발인력 양성 OpenCV와 CAN 통신 활용한 자율주행 S/W개발
자율주행 기술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기관이나 인력은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한 저변 확대를 위해 DGIST와 이에스지가 관련 교육과정을 마련했다.
운전은 우리를 어디로 데려갈 것인가 특별한 센서의 고려와 미래의 자동차
인피니언의 랄프 본펠트 부사장은 ‘미래의 자동차 운전은 우리를 어디로 데려갈 것인가’란 질문을 던지고 자율주행을 현실화하기 위한 명제와 극복과제에 대해 이야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