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가 최근 애플이 2024년을 목표로 최신 배터리 기술을 탑재하고 자율주행 기능을 갖춘 ‘승용차’ 생산을 목표하고 있다고 전하며, 애플의 기술은 소비자를 위한 차량을 목표로 할 만큼 충분히 발전했고 대중시장을 위한 승용차 생산 목표는 웨이모 등 로봇택시 개발사와는 대조적이라고 전했다.
특히 ‘배터리’에 대한 언급은 애플이 자율주행 플랫폼이 아닌, 차량 레벨에서 접근 중임을 말해준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카 메이커는 쏟아지는 신규 전기차 브랜드들, 특히 강력한 지지층을 등에 업은 애플, 테슬라는 물론, 폭스콘과 같은 EMS, 화웨이와 CATL과 같은 여러 전기차 플랫폼, 웨이모와 아마존과 같은 기술 컨소시엄 및 서비스 등 재편되는 모빌리티 산업에서 치열한 경쟁체제에 놓일 수밖에 없게 됐다.
2010년대 초 애플의 자동차 개발 루머는 마그나 인터내셔널, LG전자와 같은 주요 서플라이어들을 통해 실제임이 드러났다. 이후 테슬라 인력의 대거 영입 등 1,000여 명의 개발 팀과 함께 2014년 첫 스케치가 시작되며 ‘프로젝트 타이탄’이 본격 시작됐다. 프로젝트의 리더십 변경, 수백 명의 해고 등 애플이 차보다는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지만, 테슬라의 엔지니어 더그 필드(Dug Field)의 재고용과 함께 풀 카 개발 프로젝트는 지속됐다. 한편 2017년 이후 66대 이상의 자율주행차를 보유하고 있고 주행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고, 2019년 자율주행 스타트업 드라이브.ai를 인수하면서 셔틀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다.
자동차를 만드는 것은 새로운 밸류체인에 대한 도전이다. 애플은 매년 전 세계의 부품을 조달해 수억 개의 전자제품을 만드는 회사지만 자동차를 만들어 본 적은 없다. 밸류체인을 만드는 과정은 고되고 이 과정에서 애플의 움직임도 드러나고 있다.
누가 애플의 차를 조립할지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소식통들은 애플이 자동차를 제조하기 위해 제조 파트너에게 의존할 것으로 전망한다. 애플은 과거 마그나 인터내셔널과 차량 제작에 대한 논의를 했었지만, 애플의 계획이 불분명해지면서 협상도 지지부진했었다. 현재 마그나는 유럽에서 피스커의 전기 SUV, 중국에서 BAIC과 합작해 전기차를 생산한다.
현대자동차 등 다수의 카 메이커도 애플의 제조 파트너로 거론됐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그동안 보여준 전기차 기술력, 주 타깃인 아시아와 북미지역 기반, 애플의 마진을 감안할 때, 르노는 물론 폭스바겐과 다른 북미 제조사보다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다. 대개 이런 계약은 수익 창출을 위해 연 10만 대 이상의 도전적인 물량이 요구된다.
소식통에 따르면, 자율주행 칩 생산과 관련해 TSMC와, 전통적인 자동차 부품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들과 SCM을 위한 계약을 협의 중이다. 애플은 또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한 시스템 요소들에 대해 외부 파트너들의 협력을 결정했다. 애플은 차는 아니지만 최근 출시된 아이폰 12 프로와 아이패드 프로 모델에 모두 레이더 센서를 넣고 있다. 이에 따르면, 애플카는 각기 다른 거리 스캔을 위해 여러 개의 레이더 센서를 갖출 것이고, 내부 개발 레이더 센서 이용도 고려 중이다.
배터리와 관련해서는, 배터리 팩 내 공간과 배터리 개별 셀 용량을 키우고 파우치와 모듈을 없애는 대신 활성 물질을 더 넣는 식의 모노 셀 디자인을 고려하고 있다. 이 모노 셀 디자인은 이미 배터리 업계가 개발 중으로 애플의 목표에 맞춰질 수 있을 전망이다. 애플은 또 리튬인산철 배터리의 화학적 성질을 조사하고 있다. 이 배터리는 본질적으로 과열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다른 유형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로이터에 따르면, 배터리 비용을 극적으로 줄이고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는 이 배터리 디자인이 애플카 전략의 핵심이다.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