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5G 기반 상용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한다
5G 인프라, 5G-V2X 기술, 정밀측위, 지능형 관제 시스템 공개로 기술 차별화
2018-04-19 온라인기사  / 편집부

KT가 5G 기술 기반의 상용 자율주행 플랫폼을 개발한다. 
 
KT(회장 황창규)는 최근 열린 ‘2018 1회 퓨처포럼’을 통해, 평창에서 검증한 KT의 5G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상용 자율주행 플랫폼(5GaaVP: 5G as a Vehicle Platform)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KT는 2015년부터 준비해온 5G 인프라, 5G-V2X 기술, 정밀측위, 지능형 관제 시스템을 공개했다. 또한 판교와 대구 등에서 추진 중인 자율주행 실증단지 사업과 이를 통한 개방형 생태계 조성 계획도 소개했다.
 

KT 융합기술원 전홍범 안프라연구소장이 '5G 자율주행 플랫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자율주행 차량은 차량의 센서와 라이다 등 자체 감지능력에만 의존하여 운행되었기에, 돌발상황 대처 등에 미흡한 상황이 종종 있었다. 하지만 KT는 4대 핵심기술이 적용된 ‘5G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되면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가 동시에 연결되고 위험에 미리 대처할 수 있어 자율주행으로 인한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우선, KT는 평창 5G 시범서비스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5G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자율주행 플랫폼의 기반을 다진다. 전파 도달거리가 넓은 3.5Ghz 대역으로 전국 커버리지를 구축하고, 도심지역에서는 속도가 빠른 28Ghz 대역을 추가로 활용할 예정이다. 5G가 아직 구축되지 않은 곳은 기존 LTE망을 사용해 끊김 없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달리는 자동차에서는 시시각각 네트워크 접속환경이 변하게 되므로, 모든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5G의 ‘빔 트래킹’ 기술과 ‘5G-LTE 연동’ 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에 최적화된 토털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완성할 예정이다.
 
초저지연 차량 연결성을 제공하는 5G-V2X 기술도 공개했다. KT 5G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과 교통인프라가 1~7ms (millisecond) 수준의 초저지연으로 연결되어, 센서 방식의 기존 자율주행보다 더 안전한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5G ‘네트워크 슬라이스(가상 분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전용 가상망을 제공함으로써 자율주행에 요구되는 보안성과 안정성을 보장한다. 특히 지난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엔 강릉 지역에서 차량 3대를 활용한 5G 협력 자율주행을 실시해, 각 차량들과 교통신호기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무사히 군집 자율주행을 마친 바 있다. 
 
정밀측위 솔루션, 자율주행차에 적용해 최근까지 실사용 검증

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정밀측위 기술은, 현재 위치를 최대 30cm 단위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플랫폼 형태로 제공하는 정밀측위 기술을 5G 자율주행 플랫폼에 이용하면 주행중인 차선까지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인 차량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KT의 정밀측위 솔루션은 ‘15년부터 개발되어 왔으며, 자율주행차에 적용해 최근까지 실사용 검증을 마쳤다. 향후 GPS 위성뿐만 아니라 LTE와 5G 기지국, 중계기, WiFi AP 등 다양한 KT 인프라를 활용해 전국 어디서나 더욱 정확하고 끊김 없이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 중이다.
 
또한 KT 자율주행 플랫폼은 실시간으로 차량 위치나 센서 정보를 수집한 후, 관제서버에서 빅데이터를 분석해 상황을 예측하여 교통신호 제어를 하는 등의 지능형 관제가 가능하다. 특히, 전국 50여개 지역 Edge노드의 자율주행 플랫폼화를 진행할 경우, 중앙 집중형 시스템보다 반응속도가 더욱 빠른 초저지연 관제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