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상용차 분야 핵심 전략이 될 수도 프로스트앤설리번 윤삼진 연구원
지역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 뿐 아니라, 세계 시장의 제조원으로서 부각되는 것은 상용차 제조를 육성하는 기반을 제고하고 확충하는데 필수적이다.
2009년 08월호 지면기사
인식 전환해 전기차 육성해야 한국전기자동차산업협회 원춘건 부회장
전세계가 전기자동차(EV)를 통해 기후변화와 에너지 위기, 중소기업 육성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늦었지만 정부와 지자체, 중소기업들이 전기차 산업 육성에 나서기 시작했다. 지난 5월 마침내 한국전기자동차산업협회가 출범했다. 협회 출범에 대해 남다른 감회를 느끼고 있는 원춘건 부회장을 만나봤다.
기술지원, 원천기술 개발 연대 강화할 터 전자부품연구원 황학인 단장
진정한 국부가 창출되고 부품 업체가 발전할 수 있도록 기술 확보와 산업화까지 고려한 개발 목표 설정과 지원, 관리 시스템 개선이 요망된다.
자동차 부품 메이커의 진로
2009년 06월호 지면기사
자일링스 차량 인포테인먼트 지원 FPGA 구상
초저가차 시장 커질터
세계 자동차업체의 합종연횡이 활발하다. 파산과 인수합병, 구제금융의 소용돌이 속에서 생존을 위한 묘수 찾기가 한창이다.
혼다의 새 하이브리드 IMA 시스템
AUTOSAR의 실무 이해 AUTOSAR 3.1의 이해와 적용
현가장치와 차체 사이에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차체 손상이나 탑재된 화물 손상을 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주행시 선회 안전성 및 주행 안전성도 떨어져 운전자의 승차감을 떨어뜨리거나 피로를 가중시킨다. 노면으로부터 충격, 차체의 진동을 억제하는 쇽 업소버(shork absorber), 그리고 쇽 업소버의 감쇄력과 차체의 자세를 제어해 차량 승차감과 주행 안전성을 확보해주는 ECS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미지 기반 운전자 지원 개발 환경
이 글은 알테라(Altera짋) FPGA와 HardCopy짋 ASIC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운전자 지원 요건을 위한 개발 환경에 대해 기술한다. 이러한 개발 환경은 개발 플랫폼, 아키텍처 템플릿, 구현 방법론, 툴 등으로 구성된다. 차선 이탈 경고(Lane Departure Warning, LDW)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한 개발 환경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EV는 친환경 심볼, 혼잡통행료는 ‘채찍’ 그린카를 부르는 세계 도시 EV는 친환경 심볼
자동차 파워트레인의 패러다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세계 주요 도시들의 교통정책에서 전기차는 매우 상징적 위치에 있다. 특히 유럽의 주요 국가, 도시들은 오염 배출량이 디젤차, 하이브리드 카에 비해 월등히 낮은 전기차 보급 촉진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시장 없는 볼트, 이미지도 글쎄? 동급 말리부 대비 차값 회수에 15년
신기술의 성패 여부에서 기술의 우월성은 분명히 중요하지만 시장과 소비자의 선택 또한 결정적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신기술 동향 분석 과정에서 시장성 평가는 필수적이다.
내비의 새 지평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ADAS 기능 확장, 車 안전·연비 개선
자동차 내비게이션은 도로와 관련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 주행정보 예측 데이터인 ‘일렉트로닉 호라이즌’을 통해 자동차의 ADAS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시켜 운전자의 편의와 주행 안전은 물론 연비도 향상시키고 있다.
MS 카 내비게이션 OS 전략 Windows Automotive와 Microsoft Auto 통합 추진
내비게이션 시장은 대중화 단계를 넘어서 성숙기로 진입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대략 1999년부터 카 내비게이션용 OS 시장에 눈독을 들여왔다. 이 시장을 겨냥한 플랫폼(OS)은 Windows Automotive와 Microsoft Auto다. 각각의 최신 버전은 5.5와 4.0이다. 차기 플랫폼인 ‘Motegi’에서 Windows Automotive와 Microsoft Auto는 통합될 예정이다.
아름다운 마리아주를 위한 선택 Part. 2 Smart Grid & PHEV
스마트 에너지 그리드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마리아주는 적재적소에 손질만 된다면 아름다운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플러그인 ‘마이너리티 리포트’ Part 1. Plug-In Vehicle
탈석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솔루션으로 조기 상용화가 불확실한 연료전지차(FCEV)를 대신해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플러그인(Plug-In) 전기자동차가 급부상하고 있다. 10~20년 내에 이 전기차들이 자동차시장의 메인스트림이 되기는 힘들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지만 미래에 대비한 각국 정부의 개발 상용화 의지, OEM의 대응은 갈수록 활발해 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