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옴, 24V 입력 대응 5세대 저 ON 저항 P채널 MOSFET 양산 -40V와 -60V 내압의 24개 제품 라인업 ... 저전력화, 소형화에 기여
향후 다양한 패키지 구성과 함께 오토모티브용 제품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Pch MOSFET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구조를 채용한 차세대 공정을 사용해 Nch MOSFET 라인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2020-12-17 온라인기사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과거, 현재, 미래
프리미엄 카의 전유물이었던 HUD는 이코노미 차량에도 들어가기 시작했다. AR HUD 관련 전기차 등 브랜딩 요구 모델이 늘면서 OEM이 이 기술의 가능성과 사용 사례에 집중하고 있다.
2021년 01월호 지면기사
뉴 모빌리티 위한 만도의 ‘듀얼’ 인프라
만일 탁월한 고객 대응에 양질의 하드웨어 품질과 이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까지 갖춘 기업이 모빌리티 서비스를 한다면 어떨까? 이것이 바로 만도가 추구하는 신사업 방향이다.
서플라이어, 77 GHz 레이더 진입장벽 직면
강화된 NCAP은 레이더 기술 전문성을 확대하고자 하는 서플라이어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기술 개발을 위한 과제는 무수히 많지만 OEM 요건에 부합되는 경로는 크게 단순화될 수 있다.
미스 독일, GLB 250 4MATIC과 오프로딩
2020년 미스 독일 왕관을 쓴 레오니 폰 하세(Leonie von Hase)와 함께 머드 패키지에 올라 타 보자.
2020-12-02 온라인기사
DELO, DELOLUX 504 UV LED 램프 출시 접착제 경화 가속 ... 3배의 강도
방사능 처리를 할 작은 공간과 시스템에 쉽게 통합되는 장치가 필요한 고속 생산을 위해 개발됐다. 스팟 조명 DELOLUX 504는 최신 세대의 UV LED를 제공 이전 대비 3배 높은 강도를 제공한다.
2020-11-25 온라인기사
고속 애니메이션 조명 위한 새 표준 프로토콜
멜렉시스(Melexis)는 혁신적인 자체 표준 프로토콜을 개발해 OEM이 고속 버스 및 다채널 RGB LED 드라이버 처리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해결했다.
디지키, Mag Layers USA의 MMD 계열 몰드형 전력 인덕터 유통 자동차용 등급의 소프트 포화 유도 코어 재료 사용
Mag Layers USA의 몰드형 전력 인덕터는 차폐 구조 내부에 마그네틱 금속 파우더 코어와 내부 전선 코일로 구성돼 DC/DC 응용 분야와 전원공급장치에 사용된다. MMD 인덕터 계열은 2세대 자동차용 로봇공학을 활용한 첨단 생산 라인에서 제조된다.
2020-11-18 온라인기사
상용차의 전기 드라이브트레인
상용차들도 제로 배출을 달성하고 에너지 효율을 크게 향상시켜야만 한다. 이를 위한 적합한 전력 반도체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DELO, 전자 산업용 액체 압력 민감성 접착제
DELO는 접착 테이프와 비슷한 속성을 갖지만 액체 형태로 도포되는 접착제를 개발했다. 스마트폰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같은 전자 제품에 적합하다.
2020년 01월호 지면기사
지멘스, Xcelerator 포트폴리오에 멀티 스케일 화학 모델링 추가 컬기 인수로 신소재의 성능 중심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력 확보
컬기의 연성재료 시뮬레이션을 추가함으로써, Simcenter는 이제 신소재의 성능 중심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고유한 통합 CAE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2020-11-09 온라인기사
유블럭스, 10세대 초저전력 위치추적 플랫폼 u-blox M10, 열악한 환경에서 동시에 4가지 GNSS 위성신호 추적
u-blox M10은 동시 수신 가능한 위성신호 수가 4가지이며, 이전 세대에 비해 칩 크기는 35% 작아지고 전력 소비는 5배 더 개선됐다.
2020년 11월호 지면기사
맥심, 차량용 시퀀셜 LED 조명 IC 출시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소프트웨어 없이도 개발 가능
맥심은?MAX25605가 설계 공간을 최대 50%까지 줄이고, 부품수도 줄여 BOM (Bill of Material) 비용을 가장 근접한 경쟁 솔루션 대비 최대 25%까지 절감한다고 밝혔다.
2020-11-05 온라인기사
VSI, 자율주행차 초고속 링크 원천기술 개발
VSI는 Automotive SerDes 및 이더넷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시스템 반도체 칩을 개발한다. 데이터센터및 AI Link 기술 시장 등으로 시장을 넓혀가고 있는 강 대표에게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서울대 공대 강기석 교수팀, Post-리튬 이차전지 개발 극미세 기공 제어 분리막 개발로 유기배터리 구현 앞당겨
셔틀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전지 내에 리튬이온과 전해질 분자는 통과하면서 유기물 전극 분자 이동은 가로막을 수 있는 극미세 기공이 제어된 분리막을 개발했다. 이를 양극과 음극 사이에 도입함으로써 유기물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
2020-11-03 온라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