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테스코, 현대에 최신 전동화 구동 시스템 ‘EMR4’ 수주 전기모터, 인버터, 감속기 갖춘 3-in-1 통합 시스템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가 현대자동차그룹에 약 20억 유로(2조 6,000억 원) 규모의 차세대 전동화 구동 시스템 EMR4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B, C세그먼트에 적용된다.
2022-05-03 온라인기사
리튬메탈과 차세대 배터리 기술 패널 토론 리튬메탈 배터리의 개발 현주소 및 미래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 생산업체 SES AI가 창립 10주년을 맞아 5월 투자자들과 함께 ‘리튬메탈 배터리 패널(Li-Metal Batteries Panel)’ 토론 행사를 가졌다. 그 내용을 전한다.
2022년 05월호 지면기사
셰플러, EV용 3열 휠 베어링 '트리니티' 개발 무거운 하중, 높은 토크 EV에 최적화
셰플러가 고하중, 고토크 전기차 전용 3열 휠베어링 ‘트리피니티(Trifinity)’ 휠베어링을 개발했다.?독일 본사와 미국, 한국 등 3개 지역이 처음으로 공동개발한 제품이다.
2022-04-25 온라인기사
덴소, bZ4X와 솔테라 전기차를 위한 첨단제품
덴소가 곧 출시될 토요타와 스바루 전기차를 위한 최신 핵심 전기부품을 자랑했다. 전류센서, ESU, 히트펌프 시스템, 방열시스템, e액슬 등이다.
2022년 03월호 지면기사
[AD] 가상배터리로 EV 중량 25파운드 저감 2022년 자동차 전력 수요 예측:
바이코의 SAC와 반도체 기반 전력 모듈 컨버터를 사용하면, 12V 배터리의 필수 속성을 복제할 뿐만 아니라, 차량 무게를 25파운드 이상 줄이고, 상당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롤랜드버거, 리튬이온 배터리 원자재 공급 병목 경고 리튬이온 배터리의 공급망 위험을 관리하는 방법
운송수단의 전기화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엄청난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롤랜드버거 수석 파트너인 볼프강 베른하르트(Wolfgang Bernhart) 박사는 원자재의 공급 병목현상에 대해 경고했다.
바이코, 2022 WCX서 xEV용 최고 전력 밀도 솔루션
바이코(Vicor)의 고밀도 전력 모듈은 차량용 전력 시스템의 부피, 무게 및 부품수를 최고 70%까지 저감한다
폭스바겐, '트리니티'로 테슬라 넘는다!
칩 부족 사태, 대규모 감원에 대한 언급으로 위기를 맞았지만 폭스바겐 그룹 디이스 회장은 재신임 받았다. 연임을 즈음해 그룹의 현재와 미래를 디이스 회장의 연설과 트윗을 통해 살펴본다.
기능안전성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
비쉐이는 전체 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설계에 기여하는 BMS에 대한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한다. 애드리안 미하엘 매니저가 기능안전성 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대해 말한다.
다임러와 볼보, 플라스틱 광통신을 BMS, 백본에 적용
차량용 이더넷에서 기존 광케이블 기반 기술에 대한 ‘편견’을 바꾼 KDPOF의 '플라스틱' 광케이블 기술과 이것을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한 메르세데스 벤츠 사례에 주목했다.
오토노모의 ‘2022 모빌리티 동향 보고서’ 이동성 실행은 데이터부터
CASE 추이는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오토노모는 ‘2022 모빌리티 동향 보고서’를 내며 올해가 모빌리티 관련 사용사례를 실행에 옮기는 해라면 데이터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12V 납축전지는 퇴출되는가?
12V 납축전지는 종말을 맞았다. 유럽은 2030년 이후 신차에도 납축전지를 장착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으며, OEM들은 대체 솔루션을 찾아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라스베가스를 떠나며
CES가 그곳에 돌아왔다. 팬데믹의 영향을 피할 수 없었지만 분명한 것은 자동차가 이곳을 차지했다는 것이다. 그곳에 직접 간 취재원들에게 간략한 소감과 하이라이트를 물었다.
전기차 충전 시스템 개발의 주요 과제 해결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서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되는 두 영역, 안전성과 보안성을 갖춘 충전소 네트워크가 개발돼야 한다. NXP가 기술적 통찰력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있다.
스토어닷, 빈패스트서 시리즈 D 투자 유치 2024년 초고속 충전 배터리 셀 양산, 시제품 테스트 단계
베트남 대표 카 메이커 빈패스트(VinFast)가 스토어닷의 미래 전기차용 초고속 충전(XFC) 배터리 양산 및 공급 확대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이 배터리는 2024년 양산 예정이다.
2022-01-06 온라인기사